자격증 공부/사회조사분석사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1 과학적 조사의 이해 [ Ⅰ. 과학적 조사방법론의 의의 ] 과학의 의미와 목적 과학의 의미 우리를 둘러싼 여러 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방법 과학의 목적 과학의 연구 대상 = 이론(존재에 대한 관심), not 가치관/철학(당위성에 대한 관심) 규칙성/인과성 발견 = 현상 속에 존재하는 논리적이고 지속적인 경향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설명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 지식 형성의 방법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전통(Tradition) 사회적으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선례/ 관습/ 습성 등에 의존 권위(Authority) 사회적으로 지식생산자의 자격을 인정받은 사람들의 권위에 의존 직관(Intuition) 비판의 여지가 없는 분명한 명제에 의존 ← 부정확한 관찰, 지나친 일반화, 선택적 관찰 등의 문제 과학적 지식..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시험과 블로그 2022년 12월 중순 무렵부터 학원에서는 한창 데이터분석에 대한 수업을 진행했다. 매우 각잡고 열심히 공부할 준비가 되어 있는 주제였다. 강사님이 성의있게 수업해 주셨지만 아쉬운 점이 많았다. 일반적인 국비지원교육 학원은 수강생들의 취업률에 존망이 걸려있다. 따라서 당장 취업전선에 뛰어들 수 있는 실용적인 기술을 주로 교육하기 때문에 기본 개념들을 더 알고 싶은 학생들은 수업에 아쉬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ADsP 자격증을 준비할 때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공부를 하다보면 t분포, 카이제곱분포,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오즈비 등 우주뚱딴지 같은 개념들이 숱하게 나왔다. 그러나 강의와 참고서에는 태어나서 처음 그 개념을 접한 사람이 이해하기 힘든 말과 문장들로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갔다. 나중에 우연히 이..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