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사회조사분석사

(10)
사회통계Ⅰ: 통계학 개요 및 기술 통계 [ ⅰ. 통계학의 정의 ]관심대상의 자료를 수집, 정리, 요약 → 불확실한 사실에 관해서 과학적인 판단의 기준을 제시 → 자료의 분석 결과로 미래를 예측하는 학문 [ ⅱ. 통계학의 분류 ]기술통계학, Descripted Statistics추론통계학, Inferential Statistics도표/ 그림을 통해 자료 정리/ 요약하는 방법 →수집된 자료의 특성 파악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정보 분석 →불확실한 사실에 대한 추론평균/ 중앙값/ 최빈값/ 분산/ 표준편차 / 비율 등추론통계학을 위한 사전단계표본의 크기/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 등 [ ⅲ. 통계학 용어 ]모집단, Population통계연구의 목적이 되는 집단 전체모수, Parameter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표본, Sample모집단에서 선택..
조사방법론Ⅱ: 척도 [ ⅰ. 척도의 의의 ] 1. 척도의 의미 척도 = 측정을 위한 도구, 숫자들의 체계 자연과학: 측정대상이 주로 물질적 → 척도= 온도계, 저울 등 사회과학: 측정대상이 주로 비물질적 → 논리적/ 경험적으로 연관된 다수의 문항들로 구성 2. 지수와 척도 지표 지수 척도 변수의 속성을 나타내는 요소 지표를 합성하여 단일 수치로 표현 측정을 위한 도구 지표 점수의 단순한 합 = 경험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된 것 측정대상 속성에 따라 가중치 부여 → 강도구조를 포함 [ ⅱ.지수와 척도의 작성과정 및 지수구성 ] 1. 지수와 척도의 작성 과정 문제에 대한 속성이나 특성을 인지하고, 이것을 표현하는 이론적 개념을 형성 이론적 개념의 내용을 특정화하여 경험적 관찰이 가능한 변수로 전환 변수(개념)..
조사방법론Ⅱ: 측정 [ ⅰ. 측정의 의의 ] 1. 측정의 의미 측정 = 대상 또는 사건에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수치화) → 통계적 분석 가능화 / 추상적 개념을 경험화하는 과정 2. 측정도구가 갖추어야 할 기준 측정대상의 특성을 수치나 기호로 할당하는 규칙을 정하는 것 정밀성: 특정한 값에 수렴하는 정도 정확성: 목표치에 일치하는 정도 신뢰성: 측정의 일관성 (1:1 대응관계) 타당성: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 정도 [ ⅱ. 측정의 수준 ] 측정 수준 간의 특성비교 명목 수준 서열/순위 수준 등간/간격 수준 비율 수준 변수 속성 이산 변수, Discrete Variable 연속 변수, Continuous Variable 범주 O O O O 순위 X O O O 등간격 X X O O 절대 영점 X X X O..
조사방법론Ⅱ: 표본추출방법 [ ⅰ. 표본추출의 의의 ] 1. 표본조사와 전수조사의 개념 표본조사: 모집단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모집단의 속성을 추정하는 방법 전수조사: 모집단 전부를 조사하는 방법 2. 표본조사의 이점 시간과 비용 절약 비표본추출오차를 줄여 전수조사보다 정확한 자료 수집 파괴적 조사에 적용 [ ⅱ. 표본추출의 설계/ 표본설계 ] Sampling Design 조사대상 모집단 확정 표집틀 결정 표본추출 방법의 선택 표본의 수 결정 표본추출의 실행 1. 모집단의 확정 모집단, Population: 표본조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려는 대상집단 구성요소: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단위 표본추출단위: 표본추출의 각 단계에서 표본으로 추출되는 단위 2. 표집틀/표본프레임/표본추출프레임 결정 표집틀, Sampling F..
조사방법론Ⅰ: 자료수집 방법 [ ⅰ. 자료의 종류 ] 1. 1차 자료 의미 : 현재 수행 중인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수집하는 자료 유용성 : 연구 목적에 최적화된 원자료를 수집가능 한계: 2차 자료가 충분할 時, 해당 자료들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비용적으로 경제적이다 오류/오차 : 불포함오류 : 표본체계가 완전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 무응답오류 : 조사현장에서의 오류 : 면접/관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자료 기록 및 처리에서의 오류 : 2. 2차 자료 의미 : 다른 목적을 위해 이미 수집되고 정리된 자료 (= 기성자료) 유용성 : 수집의 용이성 = 경제적 한계 : 시의성 / 신뢰도 & 자료의 수집 목적, 조작적 정의 등이 현재 연구와 이질적인 문제 2차 자료 수집 시..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4 조사설계 [ Ⅰ. 조사설계의 의의 ] 조사설계의 의미 조사설계, Research Design :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도록 구상된 계획 조사설계의 특징 연구문제에 대하여 일정하게 한정된 해답만을 제공 어떤 연구문제에 대해 유일하고 완전한 조사설계는 존재하지 않음 다양한 실제적인 요인을 고려한 하나의 타협안의 성격 조사설계의 목적 특정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가능한 타당하고 객관적/ 경제적으로 강구하기 위한 것 조사와 관련 없는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한 것 내적/ 외적 타당성이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것 [ Ⅱ. 인과관계의 추론 ] 인과관계의 의의 인과성과 사회과학 인과관계 조사는 특정 현상을 기술하는 연구나 두 개념의 공병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모두 포괄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인..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3 조사윤리와 현장조사 [ Ⅰ. 조사윤리 (연구윤리) ] 의의 조사윤리(연구윤리) : 연구자가 속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연구의 전 과정에서 지켜야할 덕목 사회과학에서의 윤리 : 연구자가 조사대상의 권리와 복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햐 한다는 것을 강조 사회과학의 윤리적인 문제 연구내용 및 주제 연구내용이 인간에게 해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된다 연구대상 및 과정 인간을 수단으로 이용해서는 안된다 연구대상자에게 조사대상이 되는 것을 강요할 수 없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에 대한 익명성 보장 자료원에 대한 비밀보장 연구결과의 사용권한 (표절의 문제) [ Ⅱ.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의 정의 및 종류 개인정보의 정의 : 해당 정보가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총리산하 행정위원회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2 연구문제와 가설 [ Ⅰ. 연구문제의 형성 ] 연구문제의 의미 연구문제, Research Problem :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질문(의문문)의 형태로 진술된 것 연구문제의 유형 규범적 질문 : 당위성 ex) 복지를 위한 재정 지출이 확대되어야 하는가? 기술적 질문 : ex) 유권자들은 복지를 위한 재정지출에 찬성하는가? 관계형 질문 : ex) 복지에 대한 재정지출과 복지의 질은 어떤 관계인가? 연구문제의 원천 기존 지식의 미비 : 기존 지식이 불충분/ 상충/ 모순되는 경우 사회적 요청 : 특정 단체에서 특정 문제에 대한 연구/ 조사를 요청하는 경우 개인적 경험 : 연구문제의 선정기준 학문적 고려 : 연구문제가 학문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검토, 독창성/ 이론적 의의/ 경험적 가능성 실천적 고려 :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