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사회조사분석사

조사방법론Ⅱ: 표본추출방법

<01. 표본추출의 설계>

 

[ ⅰ. 표본추출의 의의 ]

 

1. 표본조사와 전수조사의 개념

  • 표본조사: 모집단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모집단의 속성을 추정하는 방법
  • 전수조사: 모집단 전부를 조사하는 방법

 

2. 표본조사의 이점

  • 시간과 비용 절약
  • 비표본추출오차를 줄여 전수조사보다 정확한 자료 수집
  • 파괴적 조사에 적용

 

 

[ ⅱ. 표본추출의 설계/ 표본설계 ] Sampling Design

조사대상
모집단 확정 표집틀 결정 표본추출 방법의 선택 표본의 수 결정 표본추출의 실행

 

1. 모집단의 확정

  • 모집단, Population: 표본조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려는 대상집단
    • 구성요소: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단위
    • 표본추출단위: 표본추출의 각 단계에서 표본으로 추출되는 단위

 

 

2. 표집틀/표본프레임/표본추출프레임 결정

  • 표집틀, Sampling Frame: 모집단의 구성요소 or 표본추출 단계별로 표본추출단위가 수록된 목록
  • 표본오차: 모집단과 표본의 특성이 다른 경우
  • 표본프레임 오차: 표본프레임이 모집단의 특성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표본프레임오차 유형
모집단 ⊃ 표집틀 모집단이 표본프레임을 포함 포괄성문제 & 불포함오차
모집단 ⊂ 표집틀 모집단이 표본프레임 안에 포함 효율성문제 & 포함오차
모집단 ∩ 표집틀 모집단과 표본프레임이 일부만 일치 일반화 가능성 상식

 

  • 표본프레임 오차를 줄이는 방법
    • 표본프레임에 맞게 모집단을 재규정
    • 수집된 자료에 일종의 가중치를 적용
    • 효율성/ 포괄성 / 일반성(일반화 가능여부) 및 추출확률보장

 

 

3. 표본추출방법/표집방법 결정

  • 확률표본추출(표집)방법
  • 비확률표본추출(표집)방법

 

 

4. 표본의 수 결정

  • 표집오차와 비표집오차
    • 표집오차/표본오차/표본추출오차: 표본조사의 통계량과 모집단의 모수와의 차이
    • 비표집오차/비표본오차/비표본추출오차: 조사/분석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측정오차)
비표집오차/비표본오차/비표본추출오차의 종류
응답자 효과 면접자 효과 면접상황의 효과 측정도구의 오류
호손효과 / 후광효과 /
사회적 소망성
면접 수행 방식   개념화 및 조작화 오류 /
어구구성 / 질문양식 등

 

  • 표본추출분포 : 표본통계량의 확률분포
    • 중심극한정리: 표본의 수가 많다면 모집단의 실제 분포와는 관계없이 표본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미지 출처: https://drhongdatanote.tistory.com/57

 

  • 표본크기의 결정
    • 모집단의 성격
      • 모집단의 규모: 규모가 작을 수록 표본비율(≠ 크기)가 높아야 한다
      • 모집단의 이질성: 이질적일 수록 표본크기를 늘려야 한다

    • 연구의 목적과 방법
      • 동시에 분석해야할 변수 및 범주의 수
      • 요구되는 신뢰도의 정도
      • 허용오차의 크기

    • 시간과 비용

 

 


<02. 표본추출방법 결정>

 

[ ⅰ. 표본추출방법 개관 ]

  확률표본추출법 비확률표본추출법
종류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체계적/계통적 표본추출
층화 표본추출
집락/군집 표본추출
임의/편의 표본추출
유의/판단/목적 표본추출
할당/쿼터 표본추출
눈덩이/누적 표본추출
구분 조사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알려져 있음 조사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이 알려져 있지 않음
성격 무작위적(사람에 의한 조작이 없음)
통계적인 평가 가능 / 조사자의 주관성 배제
작위적/임의적/인위적 표본추출
모집단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 할 때
편의 모수추정에 편의(Bias) 없음 모수추정에 편의(Bias) 존재 가능
일반화 표본분석결과의 일반화 가능 표본분석결과의 일반화 어려움
오차 표본오차 추정 가능 표본오차 추정 불가능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

 

 

[ ⅱ. 확률 표본추출방법 ]

  •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Simple Random Sampling
    • 의미: 모집단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가 표본으로 뽑힐 확률이 동등

    • 장점:
      • 모집단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불필요
      • 외적 타당도를 통계적으로 추론 가능

    • 단점:
      • 모집단에 대한 완전한 명부(List)가 필요 ∵난수표 적용
      • 대표성을 지닌 표본 추출 보장 안됨
      • 다른 표본추출방법에 비행 표본오차가 높은 경향이 있음

 

  • 계통적/체계적 표본추출
    • 의미: 모집단의 구성요소들이 배열된 목록 ← 매 k번째 구성요소를 추출 → 표본을 형성

    • 유의점: 목록에 주기성 여부 파악, 주기성이 있을 時, 매우 편향된 표본추출의 가능성 다분

    • 장점:
      • 쉬운 표본선정 / 적은 표본추출비용
      • 단순무작위 표출보다 정확한 표본선정

    • 단점:
      • 모집단에 대한 완전한 명부 필요
      • 모집단의 명부에 주기성이 있을 時 활용 불가

 

  • 층화 표본추출
    • 의미: 집단 간 이질 / 집단 내 동질 → 모집단 內 동질적인 계층 구분 → 무작위 추출

    • 표집절차
      • 조사대상 모집단을 상호배타적이고 포관적인 계층들로 분할
      • 각 계층들이 모집단 내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비율 파악 → 계층별 추출할 표본의 수 결정
      • 각 계층별로 단순무작위표집법 or 체계적표집법(확률적 표본추출법)으로 표본 추출

    • 종류:
      • 비례 층화표본추출: 각 층의 비율대로 표본 추출
      • 비비례 층화표본추출: 각 층의 비율과 상관없이 표본 추출
      • 가중표집법: 보다 동질적인 층은 비교적 적은 수의 표본 선정 / 이질적인 계층에서는 많은 수의 표본 선정

    • 장점:
      • 관련된 변수의 대표성 보장
      • 표본오차(표집오차) 감소
      • 일반적으로 표본크기가 같다면 표본오차의 크기는 층화 < 단순무작위 < 집락

    • 단점:
      • 모집단에 대한 이해와 정보 필요

 

 

  • 집락/군집 표본추출
    • 의미: 집단 간 동질 / 집단 내 이질 → 이질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집락(집단)으로 구분 → 해당 집락을 표본추출단위로 무작위로 추출 → 추출된 구성요소를 전수조사

    • 다단계 집락표본추출: 집락표집이 여러 단계에 걸쳐 실시되는 것

 

 

[ ⅲ.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

  • 임의/편의 표본추출
    • 의미: 조사자의 임의대로 표본을 추출 ex) 길거리 인터뷰

 

  • 판단/유의/목적 표본추출
    • 의미: 연구자(전문성/명성을 갖춘)의 주관적 판단으로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하는 표본들을 선정

 

  • 할당/쿼터 표본추출
    • 의미: 층화표본추출과 유사하게 모집단을 몇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표본추출

    • 층화표본출과는 다르게, 마지막 단계에서 조사원의 임의적 판단에 따라 표본 선정
    • 무작위성을 보장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결과의 일반화가 곤란함

 

  • 눈덩이/누적 표본추출
    • 의미: 조사나 공개가 제한된 표본의 해당자로부터 추천받는 것을 되풀이하여 표본추출(누적) 

    • ex) 마약/알콜 중독자, 불법체류자 or 소규모 사회조직 등

 

  • 이론적 표본추출
    • 의미: 연구의 중심개념을 설명해 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본 선택

 

 

 

참고서 : 정훈에듀_「2020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한권으로 올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