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척도의 의미>
[ ⅰ. 척도의 의의 ]
1. 척도의 의미
- 척도 = 측정을 위한 도구, 숫자들의 체계
- 자연과학: 측정대상이 주로 물질적 → 척도= 온도계, 저울 등
- 사회과학: 측정대상이 주로 비물질적 → 논리적/ 경험적으로 연관된 다수의 문항들로 구성
2. 지수와 척도
지표 | 지수 | 척도 |
변수의 속성을 나타내는 요소 | 지표를 합성하여 단일 수치로 표현 | 측정을 위한 도구 |
지표 점수의 단순한 합 = 경험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된 것 |
측정대상 속성에 따라 가중치 부여 → 강도구조를 포함 |
[ ⅱ.지수와 척도의 작성과정 및 지수구성 ]
1. 지수와 척도의 작성 과정
- 문제에 대한 속성이나 특성을 인지하고, 이것을 표현하는 이론적 개념을 형성
- 이론적 개념의 내용을 특정화하여 경험적 관찰이 가능한 변수로 전환
- 변수(개념)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경험적 지표를 선정
- 선정된 지표를 활용(복합화)하여 지수/적도를 구성
2. 지수의 구성 절차
- 문항들은 내용타당도 / 단일차원적 / 대표성 /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 각 문항에서 상호배타적 / 포괄적인 응답범주 설정 → 가중치 설정
- 내적/외적 타당도 검사
<02. 척도의 구성>
[ ⅰ. 리커트 척도 ]
- 총화평정법, Summated Rating: 각 문항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한다
- 하나의 문항보다는 일련의 문항들을 하나의 척도로 사용
- 각 문항에 대해 응답범주를 작성, 대체로 5점 척도
- 각 응답항목에 점수를 부여
- 문항간의 내적 일관성과 상관성을 판단 (by 요인분석)
[ ⅱ. 서스톤 척도 ]
- 리커트 척도에 부가적으로 등간척도를 구성하기 위해 고안
- 각 문항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문항 평가자 선출
- 문항 평가자들을 통해 사전평가를 시행 → 결과 분석 후 각 문항에 대한 중앙값을 척도치로 부여
[ ⅲ. 어의적 분화척도 ]
- ≒ 어의차별 척도 / 의미분화 척도
- 두 개의 서로 상반된 형용사적인 표현을 양방향의 끝에 표시, 주로 7점 척도
- 일종의 태도 척도
[ ⅳ. 사회적 거리(보가더스) 척도 ]
- 인종 및 사회계급의 편견의 강도(사회적 거리) 측정
- 누적적인 척도(Cumulative Scale): 상위 목록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하위 목록을 포함
[ ⅴ. 거트만 척도 ]
- 보가더스 척도를 체계적으로 발전 → 문항의 단일차원성이 경험적으로 검증되도록 설계된 척도
- 단일차원적이고 누적적인 척도 → 척도 도식법
- 경험적 관측을 토대로 척도가 구성됨으로써 이론적으로 우월
- 재생가능성 계수, Coefficient of Reproducibilibty
[ ⅵ. 소시오메트리 ]
- 집단 내 구성원 간의 거리(배척/지도력)을 특정
- 조사대상이 소수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
'자격증 공부 > 사회조사분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통계Ⅰ: 통계학 개요 및 기술 통계 (0) | 2021.01.28 |
---|---|
조사방법론Ⅱ: 측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Ⅱ: 표본추출방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Ⅰ: 자료수집 방법 (0) | 2021.01.08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4 조사설계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3 조사윤리와 현장조사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2 연구문제와 가설 (0) | 2021.01.03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1 과학적 조사의 이해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