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사회조사분석사

조사방법론Ⅰ: 자료수집 방법

< 01. 자료 종류 및 자료수집방법 선택기준 >

 

[ ⅰ. 자료의 종류 ]

1. 1차 자료

  • 의미 : 현재 수행 중인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수집하는 자료

  • 유용성 : 연구 목적에 최적화된 원자료를 수집가능

  • 한계: 2차 자료가 충분할 時, 해당 자료들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비용적으로 경제적이다

  • 오류/오차 : 

    • 불포함오류 : 표본체계가 완전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

    • 무응답오류 : 

    • 조사현장에서의 오류 : 면접/관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 자료 기록 및 처리에서의 오류 : 

 

2. 2차 자료

  • 의미 : 다른 목적을 위해 이미 수집되고 정리된 자료 (= 기성자료)

  • 유용성 : 수집의 용이성 = 경제적

  • 한계 : 시의성 / 신뢰도 & 자료의 수집 목적, 조작적 정의 등이 현재 연구와 이질적인 문제

  • 2차 자료 수집 시 고려사항

    • 조사 목적의 적합성

    • 자료의 정확성

    • 자료의 일관성(일치성)

  • 유형

    • 내부 자료 : 조직 내부의 자료

    • 외부 자료 : 타 기관에서 발행한 자료 중 입수 가능한 자료

양적 조사 질적 조사
실험, 서베이(구조화된 면접법), 다변량통계분석 등 사례조사, 관찰법, 심층면접법, 표적집단면접법, 투사법 등
- 논리실증주의적 시각 / 통제된 측정을 이용 / 객관적
- 자료부터의 격리 : 외부자 시각
- 검증지향, 확증적, 추론적, 가설적, 연역적
- 구조 및 결과 중심 / 신뢰성 강조
- 현상학적 시각 / 통제되지 않은 관찰 / 주관적
- 자료에 밀접 : 내부자 시각
- 발견지향, 탐색적, 기술적, 실명적, 귀납적
- 과정 중심 / 타당성 강조

 

 

[ ⅱ.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1. 의의 : 연구목적/ 자료의 성격과 질/ 수집자와 대상자의 특성/ 비용과 시간/ 기타 환격적 상항에 대한 고려

2. 선택기준 : 상기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

 

 


< 02. 자료수집 방법 >

[ ⅰ. 대인면접법 ]

종류 특징
구조화 / 표준화 면접 - 표준화 된 면접조사표(= 정해진 질문항목/ 형식/ 배열순서)에 따라 조사원이 응답자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면접을 수행
-비구조화 면접에 비해 자료의 신뢰성이 높음
비구조화 / 비표준화 면접 - 면접 상황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자료를 수집 → 심층면접법
반구조화 / 준표준화 면접 - 일정 수의 중요 질문만 표준화, 外 자유롭게 정보 수집 → 표적집단면접, 임상면접

 

[ ⅱ. 우편조사법 ]

[ ⅲ. 전화면접법 ]

[ ⅳ. 인터넷 조사법/ 온라인 사회조사 ]

 

[ ⅴ. 심층면접법 ]

1. 성공적인 심층면접 조건 : 친밀감(Rapport) 형성 ← 오랜 시간이 필요

2. 심층면접 기법

  • 래더링, Laddering : 연속적인 일련의 질문을 통해 응답자의 특성 파악
  • 숨겨진 내용에 대한 질문, Hidden Issue Questioning
  • 상징적인 분석, Symbolic Analysis 

 

[ ⅵ. 표적집단면접법 ] aka. FGI(Focus Group Interview)

  • 소수의 응답자를 한 장소에 모이게 한 후, 조사 목적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토론/대화 유도 → 필요정보 수집
    질적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집중면접,
Focused Interview
특정 경험이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에 관심 → 해당 경험에 대한 집중적인 질문
→ 응답자의 경험에 대한 내면적인 상황과 행위성향을 파악 (정신과 진료)
임상면접,
Clinical Interview
개인의 감정이나 개인의 생활사 전반에 대해 광범위하게 면담
→ 응답자 스스로 자기 행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나 결과 등을 발견할 수 있게하는 면접방식

 

[ ⅶ. 자기관리식 / 자기기입식 서베이 ]

  • 면접조사와 우편조사를 결합하여 변형한 방법

  • 집단조사법 : 피조사자를 한 자리에 모아 설문지를 일제히 배부하고 기입하게 해서 회수하는 방식

  • 배포조사법 : 설문지를 배부한 후 나중에 회수함, 유치법

 

[ ⅷ . 관찰법 ]

1. 의의

  • 연구대상을 일정한 시간에 걸쳐 관찰한 결과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연구대상 조작/통제 X)

     

2. 종류

  • 자연적 관찰 vs 인위적 관찰 :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의 인위성과 실제성 여부

  • 공개적 관찰 vs 비공개적 관찰 : 피관찰자가 자신의 행동이 관찰되는 지에 대한 여부

  • 참여 관찰 / 준참여 관찰 / 비참여 관찰 : 연구대상들에게 관찰자의 신분을 밝히는지 않는지에 대한 여부

  • 체계적 관찰 vs 비체계적 관찰 : 사전에 관찰에 대한 양식을 준비하는 지에 대한 여부

  • 직접관찰 vs 간접관찰 : 관찰할 행동의 시점에 대한 기준 차이

  • 기계사용여부

 

[ ⅹ. 투사법 ]

1. 의의 : 응답자가 갖고 있는 연구대상에 대한 정보를 구조화 되지 않은 간접법에 의하여 조사하는 방법

 

연상기법 응답자에게 자극 → 이에 연상되는 느낌이나 대상을 표현하도록 만드는 기법
완성기법 응답자에게 불완전한 상황/문장 제시 → 응답자에게 나머지 부분을 채우도록 요구하는 기법
표현기법 응답자에게 특정 상황 제시 → 이에 대해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느낄 느낌/태도 설명을 유도
구성기법 응답자에게 최소한의 상황만 제시 → 나머지 부분을 설명하도록 하여 내면의 정보 유도

 

[ ⅹⅰ. 델파이기법 ]

[ ⅹⅱ. 공론조사 : 숙의형 여론조사]

 

 

 

 

참고서 : 정훈에듀_「2020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한권으로 올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