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과학적 조사방법론의 의의 ]
- 과학의 의미와 목적
- 과학의 의미
- 우리를 둘러싼 여러 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방법
- 우리를 둘러싼 여러 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방법
- 과학의 목적
- 과학의 연구 대상 = 이론(존재에 대한 관심), not 가치관/철학(당위성에 대한 관심)
- 규칙성/인과성 발견 = 현상 속에 존재하는 논리적이고 지속적인 경향
-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설명
-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
- 과학의 의미
- 지식 형성의 방법
-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 전통(Tradition)
- 사회적으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선례/ 관습/ 습성 등에 의존
- 권위(Authority)
- 사회적으로 지식생산자의 자격을 인정받은 사람들의 권위에 의존
- 직관(Intuition)
- 비판의 여지가 없는 분명한 명제에 의존 ← 부정확한 관찰, 지나친 일반화, 선택적 관찰 등의 문제
- 비판의 여지가 없는 분명한 명제에 의존 ← 부정확한 관찰, 지나친 일반화, 선택적 관찰 등의 문제
- 전통(Tradition)
- 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 객관성과 논리성을 전제, 경험적 증거에 의하여 지식을 획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절차
- 객관성과 논리성을 전제, 경험적 증거에 의하여 지식을 획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절차
-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 과학적 조사의 의의
- 조사의 의미
- 의문이나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를 위한 지식을 얻는 행위/절차
- 의문이나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를 위한 지식을 얻는 행위/절차
- 과학적 조사의 의미
- 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으로 이뤄진 조사 = 일반현상 가운데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설적인 명제들을 체계적/ 통제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활동
- 기존의 이론을 통해 개발되거나 관찰된 변수들 사이의 가정된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과정
- 과학적 조사의 전제
- 모든 현상에는 질서와 규칙이 있다. = 우연성 배제, 변화도 유형화되어 있다 상정한다.
- 모든 현상은 이해될 수 있다.
- 모든 현상에는 원인이 있다. = 결정론적 관점이지만, 확률론적/ 개연론적 인과관계에 기초를 둔다
- 자명한 지식은 없다. = 현상과 사실에 대한 회의적 태도 ← 객관적인 증명에 따라 해소.
- 과학적 지식은 상대적이다. = 절대적/ 영원 불멸이 아닌, 임시적이며 가변적이다(Self-Correction).
- 과학적 지식은 경험에 기초한다. = 경험/ 관찰에 근거 ≠ 인간의 관념/ 순수이성
- 과학적 조사의 특징
- 논리성 : 논리적 근거 기반
- 객관성 : 가능한 주관적인 편견/ 판단 배제 → 객관적 증거/ 판단에 의존
- 상호주관성 : 다양한 주관/ 가치 사이에 서로 공통적인 부분을 인정(사회과학의 특징)
- 체계성 : 연구 진행 과정을 일정한 원칙에 입각
- 재생 가능성 : 연구 과정/ 절차 → 동일 조건 반복 時, 동일 결과 획득
- 경험적 입증성 : 경험적 자료를 통해 증명 필수
- 일반화 가능성 : 연구결과의 적용 가능 범위 규정
- 수정 가능성 : 자기수정(Self-Correction)여지 확보
- 조사의 의미
- 과학적 조사의 논리체계
-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경험적 검증(가설채택 또는 기각) = 先 이론, 後 조사
- 결론의 타당성이 전제의 타당성에 달려 있다 = '만일 전제가 옳다면, 결론은 반드시 옳다.'
- 귀납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관찰/ 경험 → 유형/ 규칙성 발견 → 잠정결론 = 先 조사, 後 이론
- 관찰/ 경험 → 유형/ 규칙성 발견 → 잠정결론 = 先 조사, 後 이론
-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 순환과정
-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Ⅱ. 과학적 조사의 목적과 유형 ]
- 과학적 연구의 목적
- 주류 사회과학적 관점
- 기술, Description : 현상의 문제/ 속성이 무엇(What) 인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
- 설명, Explanation : 인과관계 증명. 즉, 왜(Why)라는 물음에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
- 예측, Prediction : 가설로 부터 미지의 사건/ 현상을 연역하는 것
- 통제, Control : 현상을 결정하는 조건을 조작하는 것
- 해석학적 관점
- 인간행태(Behavior)의 인과관계 논증이 아닌, 세계와 인간행위(Action)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상호작용(Interaction)에 대한 지식을 갖게되는 것에 중점.
- 인간행태(Behavior)의 인과관계 논증이 아닌, 세계와 인간행위(Action)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상호작용(Interaction)에 대한 지식을 갖게되는 것에 중점.
- 비판이론적 관점
-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을 비판적으로 재조명 → 인간의 해방을 위한 실천(Praxis)을 강조(담론적 방법)
- 실천, Praxis : 사회를 변혁하게 하는 의식적이고 계획적인 모든 활동을 의미(계몽주의적)
- 주류 사회과학적 관점
- 과학적 조사의 유형
- 조사 목적에 따른 분류
- 탐색적 조사 : 조사 주제가 새로운 것이거나, 해당 주제에 대한 자료가 부실한 경우
- 기술적 조사 : 사회현상에 대한 기술을 목적으로 하거나, 사회현상에 대한 정보 획득을 계획한 경우
- 설명적 조사 : 사실의 인과관계를 규명(진단적 조사)/ 예측(예측적 조사)하는 조사
- 조사 시점에 따른 분류
- 횡단적 조사, Cross-Sectional Study
- 의의 : 한 시점에서 사람/ 상황의 표본/ 단면을 관찰. 정적이고 시간제약적이므로 조사대상이 넓게 분포되어 있거나, 조사대상의 수가 많으며, 변수에 관한 자료가 방대할 때 적합한 방법
- 종류 :
- 현황 서베이, Status Survey : 어떤 사건과 관련된 상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술
- 상관적 연구, Correlational Study : 변수 간의 관련성 파악
- 종단적 조사, Longitudinal Study
- 의의 : 동일 현상에 대해 장기간 관찰 = 시점을 달리하여 동일한 분석단위에 대한 측정 반복
- 종류 :
- 추세조사, Trend Study : 경향조사 또는 시계열조사. 복수의 연구대상을 둘 이상의 시점에서 관찰한 다음 그 결과를 비교하는 연구
- 코호트조사, Cohort Study : 동년배조사 또는 동시경험집단조사. 특정 경험을 공유하는 특정한 하위집단(= 코호트)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조사
- 패널조사, Panel Study : 동일집단 반복조사. 동일한 사람/ 집단을 각 시점마다 조사
- 횡단적 조사, Cross-Sectional Study
- 조사 용도에 따른 분류
- 기초/ 순수 조사 : 사회현상에 대한 기본지식 탐구 목적 → 현실 이용 < 기본 원리/ 법칙 제공
- 응용조사 : 특정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 것
- 평가조사 : 정부정책이나 사업의 효과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는 조사
- 변수조작가능성에 따른 분류
- 실험설계 :
- 비실험설계 :
- 자료수집성격에 따른 분류
- 양적 조사 : 수적 표현(정량적 자료)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는 조사
- 질적 조사 : 정성적 자료의 질적 표현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는 조사
- 조사 목적에 따른 분류
탐색적 조사 | 기술적 조사 | 설명적 조사 | |
조사내용 | - 앞으로의 연구수행을 위한 연구문제의 형성 - 새로운 아이디어/ 가설 설정 - 연구의 실행가능성 검토 |
- 일련의 범주 개발 또는 유형분류 - 인과적 과정/ 매커니즘 기록 - 변수 간 상관관계의 확인 |
- 이론적 예측 또는 원칙의 검증 - 이론의 설명 정교화 |
조사방법 | - 문헌조사 - 전문가의 의견 조사 - 사례연구 - 비표준화 질문 |
- 종단/ 횡단 조사 - 표준화 질문 |
- 실험 연구 - 정밀 관찰 |
조사결과 | - 질적 정보 중심 - 가설 탐색에 활용 |
- 계량적 정보 중심 - 기술통계분석 |
- 계량적 정보 중심 - 정밀한 인과관계 통계분석 |
[ Ⅲ. 과학적 조사의 절차 및 계획 ]
- 과학적 조사의 절차
- 문제 제기 : 과학적 조사의 전반적인 방향 설정 단계
- 조사설계 :
- 규정된 문제에 대한 종합적 검토 = 조사 목적, 연구 문제, 가설 검토
- 사용할 조사 방법 제시
- 조사설계 평가 = 신뢰성/ 타당성/ 경제성/ 객관성 등
- 자료 수집
- 1차 자료 : 조사자가 조사를 시행하는 가운데 직접 수집해야 할 자료
- 2차 자료 : 조사를 수행하는 조사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 의해 이미 정리된 자료
- 자료 분석/ 해석 및 이용
- 보고서 작성
- 과학적 조사의 계획
- 조사 목적
- 조사의 타당성 인식
- 연구 목적의 규명
- 조사 내용
- 조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얻어내야할 정보
- 조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얻어내야할 정보
- 조사 방법
- 자료 수집 방법
- 자료 분석 방법
- 일정 계획 및 예산
- 조사 일정
- 예산
- 조사 목적
'자격증 공부 > 사회조사분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사방법론Ⅱ: 척도 (0) | 2021.01.19 |
---|---|
조사방법론Ⅱ: 측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Ⅱ: 표본추출방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Ⅰ: 자료수집 방법 (0) | 2021.01.08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4 조사설계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3 조사윤리와 현장조사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2 연구문제와 가설 (0) | 2021.01.03 |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시험과 블로그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