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사회조사분석사

조사방법론Ⅱ: 척도

<01. 척도의 의미>

 

[ ⅰ. 척도의 의의 ]

1. 척도의 의미

  • 척도 = 측정을 위한 도구, 숫자들의 체계
    • 자연과학: 측정대상이 주로 물질적 → 척도= 온도계, 저울 등
    • 사회과학: 측정대상이 주로 비물질적 → 논리적/ 경험적으로 연관된 다수의 문항들로 구성

 

2. 지수와 척도

지표 지수 척도
변수의 속성을 나타내는 요소 지표를 합성하여 단일 수치로 표현 측정을 위한 도구
지표 점수의 단순한 합 =
경험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된 것
측정대상 속성에 따라 가중치 부여
강도구조를 포함

 

 

[ ⅱ.지수와 척도의 작성과정 및 지수구성 ]

1. 지수와 척도의 작성 과정

  • 문제에 대한 속성이나 특성을 인지하고, 이것을 표현하는 이론적 개념을 형성
  • 이론적 개념의 내용을 특정화하여 경험적 관찰이 가능한 변수로 전환
  • 변수(개념)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경험적 지표를 선정
  • 선정된 지표를 활용(복합화)하여 지수/적도를 구성

 

2. 지수의 구성 절차

  • 문항들은 내용타당도 / 단일차원적 / 대표성 /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 각 문항에서 상호배타적 / 포괄적인 응답범주 설정 → 가중치 설정
  • 내적/외적 타당도 검사

 

 


<02. 척도의 구성>

 

 

[ ⅰ. 리커트 척도 ]

  • 총화평정법, Summated Rating: 각 문항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한다
  • 하나의 문항보다는 일련의 문항들을 하나의 척도로 사용
  • 각 문항에 대해 응답범주를 작성, 대체로 5점 척도
  • 각 응답항목에 점수를 부여
  • 문항간의 내적 일관성과 상관성을 판단 (by 요인분석)

 

[ ⅱ. 서스톤 척도 ]

  • 리커트 척도에 부가적으로 등간척도를 구성하기 위해 고안
  • 각 문항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문항 평가자 선출
  • 문항 평가자들을 통해 사전평가를 시행 → 결과 분석 후 각 문항에 대한 중앙값을 척도치로 부여

 

리커트 척도와 서스턴 척도의 예시

 

 

[ ⅲ. 어의적 분화척도 ]

  • ≒ 어의차별 척도 / 의미분화 척도
  • 두 개의 서로 상반된 형용사적인 표현을 양방향의 끝에 표시, 주로 7점 척도
  • 일종의 태도 척도

 

 

[ ⅳ. 사회적 거리(보가더스) 척도 ]

  • 인종 및 사회계급의 편견의 강도(사회적 거리) 측정
  • 누적적인 척도(Cumulative Scale): 상위 목록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하위 목록을 포함

 

 

[ ⅴ. 거트만 척도 ]

  • 보가더스 척도를 체계적으로 발전 → 문항의 단일차원성이 경험적으로 검증되도록 설계된 척도
  • 단일차원적이고 누적적인 척도 → 척도 도식법
  • 경험적 관측을 토대로 척도가 구성됨으로써 이론적으로 우월
  • 재생가능성 계수, Coefficient of Reproducibilibty

 

보가더스 척도와 가트만 척도의 예시

 

 

[ ⅵ. 소시오메트리 ]

 

소시오그램과 소시오메트릭 행렬

 

  • 집단 내 구성원 간의 거리(배척/지도력)을 특정
  • 조사대상이 소수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

 

 

 

참고서 : 정훈에듀_「2020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한권으로 올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