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자료 종류 및 자료수집방법 선택기준 >
[ ⅰ. 자료의 종류 ]
1. 1차 자료
-
의미 : 현재 수행 중인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수집하는 자료
-
유용성 : 연구 목적에 최적화된 원자료를 수집가능
-
한계: 2차 자료가 충분할 時, 해당 자료들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비용적으로 경제적이다
-
오류/오차 :
-
불포함오류 : 표본체계가 완전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
-
무응답오류 :
-
조사현장에서의 오류 : 면접/관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
자료 기록 및 처리에서의 오류 :
-
2. 2차 자료
-
의미 : 다른 목적을 위해 이미 수집되고 정리된 자료 (= 기성자료)
-
유용성 : 수집의 용이성 = 경제적
-
한계 : 시의성 / 신뢰도 & 자료의 수집 목적, 조작적 정의 등이 현재 연구와 이질적인 문제
-
2차 자료 수집 시 고려사항
-
조사 목적의 적합성
-
자료의 정확성
-
자료의 일관성(일치성)
-
-
유형
-
내부 자료 : 조직 내부의 자료
-
외부 자료 : 타 기관에서 발행한 자료 중 입수 가능한 자료
-
양적 조사 | 질적 조사 |
실험, 서베이(구조화된 면접법), 다변량통계분석 등 | 사례조사, 관찰법, 심층면접법, 표적집단면접법, 투사법 등 |
- 논리실증주의적 시각 / 통제된 측정을 이용 / 객관적 - 자료부터의 격리 : 외부자 시각 - 검증지향, 확증적, 추론적, 가설적, 연역적 - 구조 및 결과 중심 / 신뢰성 강조 |
- 현상학적 시각 / 통제되지 않은 관찰 / 주관적 - 자료에 밀접 : 내부자 시각 - 발견지향, 탐색적, 기술적, 실명적, 귀납적 - 과정 중심 / 타당성 강조 |
[ ⅱ.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1. 의의 : 연구목적/ 자료의 성격과 질/ 수집자와 대상자의 특성/ 비용과 시간/ 기타 환격적 상항에 대한 고려
2. 선택기준 : 상기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
< 02. 자료수집 방법 >
[ ⅰ. 대인면접법 ]
종류 | 특징 |
구조화 / 표준화 면접 | - 표준화 된 면접조사표(= 정해진 질문항목/ 형식/ 배열순서)에 따라 조사원이 응답자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면접을 수행 -비구조화 면접에 비해 자료의 신뢰성이 높음 |
비구조화 / 비표준화 면접 | - 면접 상황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자료를 수집 → 심층면접법 |
반구조화 / 준표준화 면접 | - 일정 수의 중요 질문만 표준화, 外 자유롭게 정보 수집 → 표적집단면접, 임상면접 |
[ ⅱ. 우편조사법 ]
[ ⅲ. 전화면접법 ]
[ ⅳ. 인터넷 조사법/ 온라인 사회조사 ]
[ ⅴ. 심층면접법 ]
1. 성공적인 심층면접 조건 : 친밀감(Rapport) 형성 ← 오랜 시간이 필요
2. 심층면접 기법
- 래더링, Laddering : 연속적인 일련의 질문을 통해 응답자의 특성 파악
- 숨겨진 내용에 대한 질문, Hidden Issue Questioning
- 상징적인 분석, Symbolic Analysis
[ ⅵ. 표적집단면접법 ] aka. FGI(Focus Group Interview)
-
소수의 응답자를 한 장소에 모이게 한 후, 조사 목적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토론/대화 유도 → 필요정보 수집
질적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집중면접, Focused Interview |
특정 경험이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에 관심 → 해당 경험에 대한 집중적인 질문 → 응답자의 경험에 대한 내면적인 상황과 행위성향을 파악 (정신과 진료) |
임상면접, Clinical Interview |
개인의 감정이나 개인의 생활사 전반에 대해 광범위하게 면담 → 응답자 스스로 자기 행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나 결과 등을 발견할 수 있게하는 면접방식 |
[ ⅶ. 자기관리식 / 자기기입식 서베이 ]
-
면접조사와 우편조사를 결합하여 변형한 방법
-
집단조사법 : 피조사자를 한 자리에 모아 설문지를 일제히 배부하고 기입하게 해서 회수하는 방식
-
배포조사법 : 설문지를 배부한 후 나중에 회수함, 유치법
[ ⅷ . 관찰법 ]
1. 의의
-
연구대상을 일정한 시간에 걸쳐 관찰한 결과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연구대상 조작/통제 X)
2. 종류
-
자연적 관찰 vs 인위적 관찰 :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의 인위성과 실제성 여부
-
공개적 관찰 vs 비공개적 관찰 : 피관찰자가 자신의 행동이 관찰되는 지에 대한 여부
-
참여 관찰 / 준참여 관찰 / 비참여 관찰 : 연구대상들에게 관찰자의 신분을 밝히는지 않는지에 대한 여부
-
체계적 관찰 vs 비체계적 관찰 : 사전에 관찰에 대한 양식을 준비하는 지에 대한 여부
-
직접관찰 vs 간접관찰 : 관찰할 행동의 시점에 대한 기준 차이
-
기계사용여부
[ ⅹ. 투사법 ]
1. 의의 : 응답자가 갖고 있는 연구대상에 대한 정보를 구조화 되지 않은 간접법에 의하여 조사하는 방법
연상기법 | 응답자에게 자극 → 이에 연상되는 느낌이나 대상을 표현하도록 만드는 기법 |
완성기법 | 응답자에게 불완전한 상황/문장 제시 → 응답자에게 나머지 부분을 채우도록 요구하는 기법 |
표현기법 | 응답자에게 특정 상황 제시 → 이에 대해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느낄 느낌/태도 설명을 유도 |
구성기법 | 응답자에게 최소한의 상황만 제시 → 나머지 부분을 설명하도록 하여 내면의 정보 유도 |
[ ⅹⅰ. 델파이기법 ]
[ ⅹⅱ. 공론조사 : 숙의형 여론조사]
'자격증 공부 > 사회조사분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통계Ⅰ: 통계학 개요 및 기술 통계 (0) | 2021.01.28 |
---|---|
조사방법론Ⅱ: 척도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Ⅱ: 측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Ⅱ: 표본추출방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4 조사설계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3 조사윤리와 현장조사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2 연구문제와 가설 (0) | 2021.01.03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1 과학적 조사의 이해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