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연구문제의 형성 ]
- 연구문제의 의미
- 연구문제, Research Problem :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질문(의문문)의 형태로 진술된 것
- 연구문제, Research Problem :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질문(의문문)의 형태로 진술된 것
- 연구문제의 유형
- 규범적 질문 : 당위성 ex) 복지를 위한 재정 지출이 확대되어야 하는가?
- 기술적 질문 : ex) 유권자들은 복지를 위한 재정지출에 찬성하는가?
- 관계형 질문 : ex) 복지에 대한 재정지출과 복지의 질은 어떤 관계인가?
- 연구문제의 원천
- 기존 지식의 미비 : 기존 지식이 불충분/ 상충/ 모순되는 경우
- 사회적 요청 : 특정 단체에서 특정 문제에 대한 연구/ 조사를 요청하는 경우
- 개인적 경험 :
- 연구문제의 선정기준
- 학문적 고려 : 연구문제가 학문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검토, 독창성/ 이론적 의의/ 경험적 가능성
- 실천적 고려 : 연구결과가 현실 문제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검토
- 도의적 고려 : 연구문제가 사회질서/ 윤리를 해칠 수 있는지를 검토
-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 연구주제의 선택 : 연구분야 선정 → 해당 분야에서 특정한 주제 선정
- 연구목적의 규정 : 연구주제 선택 後,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
- 연구문제의 진술 : 선택된 연구주제와 관련된 관심사항/ 의문점을 질문의 형태로 표현
- 연구가설의 설정 : 연구문제의 구체성과 연구의 방행성을 가설화하며 구체화
[ Ⅱ. 문헌검토 ]
- 문헌 검토의 의미
- 목적
- 검토의 시기
- 절차
- 문헌검색 방법
[ Ⅲ. 이론 ]
- 이론의 의의
- 의미 : 현상을 설명/ 예측할 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 견해를 제공하는 일단의 상호관련된 개념(변수), 정의, 명제(진술)들이다.
- 이론의 논리적 구조
- 개념(변수)은 이론의 기초가 되는 구성요소
- 하나의 명제는 두 개 이상의 개념(변수)들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진술
- 상호 의존된 둘 이상의 명제들이 하나의 이론을 구성
- 이론의 성격
- 이론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개념(변수)들이다
-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들은 법칙(일반론)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 이론은 경험적 의미를 지닌다. 즉, 경험적으로 이해되고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 이론의 형성방법
- 연역적 이론형성 : 이론 →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
- 귀납적 이론형성 : 관찰 → 검증 → 경험적 일반화 → 이론
- 관련개념
- 모델, Model : 현실세계의 본질적 특징을 부각하며 질서 있게 단순화한 것
- 패러다임, Paradigm : 특정 과학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세계관, 신념체계 및 연구과정의 체계
- 이데올로기, Ideology : 특정집단이 공유하는 폐쇄적인 신념 및 가치체계
- 이론의 역할 및 평가기준
- 이론의 역할
- 일련의 개념들 간 상호 관련성을 구체화 → 현상에 대한 이해/ 설명 → 현상을 예측/ 통제
- 과학적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 제공
- 과학적 기식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표현 → 불확식한 명제, 가설 등에 대한 판단 기준 역할 수행
- 이론의 평가기준
- 정확성, Accuracy : 가능한 한 많은 변이를 설명/ 예측할 수 있어야 하낟
- 일반성, Generality : 적용되는 사회현상의 범위가 커야 한다
- 간결성, Parsimony :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독립변수의 숫자가 적어야 한다
- 인과성, Causality : 원인변수 이외에 새로운 변수들이 작용해도 설명 유형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야한다.
- 이론의 역할
[ Ⅳ. 변수 ]
- 개념과 개념적 정의
- 개념의 의의
- 개념의 의미 : 특정한 현상(구체적인 것)들을 일반화시켜 형성한 추상적인 관념(용어)
- 구성개념의 의미 : 특정연구를 위해 의도적으로 개발/ 선택하여 조작적으로 의미를 부여한 개념
- 개념의 역할 :
- 추상적인 현상들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는 방법 강구 ex) 국가, 인권, 민주주의 등
- 언어로 기호료 표시 → 지식의 축적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 조작화를 통해 연구문제에 대한 범위와 주요 변수를 제시 → 연구대상 가시화/ 측정가능화
- 개념의 구비조건
- 한정성/명확성 : 서로 다른 개개 현상이나 사실의 특성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 통일성 : 일정한 개념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 범위의 적정성 : 개념이 포용하는 범위의 적정성을 고려해여 한다
- 체계적 의미성 : 개념이 부분으로 대표된 이론과 명제에서 구체화 되어있는 정도를 유지한다
- 개념적 정의
- 연구에 사용되는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여 이를 경험적 세계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개념화, Conceptualization : 측정에 앞서 이론적 틀(Model) 속에서 의도라는 개념들의 의미를 명확화
- 개념적 정의, Conceptual Definiiton : 개념화를 통해 구체화된 개념
- 개념의 의의
- 변수와 조작적 정의
- 변수의 의미
- 둘 이상의 값을 갖는 경험적 속성 = 경험적으로 측정 가능(계량적인 수치 필요)하도록 전환된 개념
- 변수는 특정 대상의 속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개념과 같으나, 경험적 세계의 측정 가능한 속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개념과 구분된다 ( = 모든 변수는 개념이지만, 모든 개념이 변수는 아니다)
- 변수의 종류
-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
- 종속변수의 논리적 선행조건. = 원인/ 설명/ 예측변수
- 종속변수, Dependent Variable :
- 독립변수가 변화함에 따라 일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 결과/ 피설명/ 반응/ 의존변수
- 조절변수, Mediating Variable :
- 두 변수의 관계를 조절하여 그 관계를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변수. 기대보다 약한 관계, 또는 관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이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 → 조절 효과
- 매개변수, Intervening Variable :
- 독립/종속변수 사이에서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 즉, 독립변수의 영향을 종속변수에게 전달하는 중간 다리 역할
- 독립/종속변수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는 이유(매커니즘)을 설명하는 변수
- 선행변수, Antecedent Variable :
- 인과관계에서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독립변수에 대해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
- 외재변수, Extraneius Variable :
- 독립/종속변수의 관계가 표면적으로는 인과관계가 있어 보이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두 변수가 우연히 다른 변수와 연결됨으로써 관계가 있는 것 처럼 보이게 하는 제3의 변수
- 외재변수의 종류
- 허위변수, Spurious Variable :
- 독립/종속변수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이들 사이의 공동변화를 모두 설명하는 변수
- 혼란변수, Confounding Variable :
- 독립/종속변수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이들 사이의 공동변화를 설명하지 못하는 변수
- 허위변수, Spurious Variable :
- 억압변수, Suppressor Variable :
- 두 변수가 서로 관계가 있는데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
- 왜곡변수, Distorter Variable :
- 두 변수의 사실상의 관계를 정반대의 관계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
- 통제변수 :
- 독립/종속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적절히 통제된 변수(매개/외재/업악/왜곡변수)
- 연구설계에서 통제하고자 하는 외생변수는 더 이상 외생변수라 하지 않고 통제변수라 한다
- 구성변수 :
- 포괄적 개념의 하위개념인 구성개념을 변수화한 측정변수
- 잠재변수, Latent Variable :
- 실제 관측되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 → 조작적 정의를 통해 측정 가능화(측정 변수)
- 측정변수, Measured Variable :
- 잠재변수 등을 측정하고하고자 조작화된 변수, 명시(Manifest)변수라고도 함
- 잠재변수 등을 측정하고하고자 조작화된 변수, 명시(Manifest)변수라고도 함
-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
- 변수 간 관계
- 관계의 본질
- 만약 두 변수 사이에 관계가 있다면 상관관계나 인과간계 성립이 가능함을 시사
- 관계의 방향
- 비대칭적 관계, Asymmetrical Relationship :
-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일방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
- 쌍방적 관계, Reciprocal Relationship :
- 두 변수 중 하나가 다른 변수의 원인이 되어 변화를 야기, 또 반대로 영향을 받는 관계
- 정(+), 부(-), 복합(+/-)의 관계 등
- 비대칭적 관계, Asymmetrical Relationship :
- 관계의 본질
- 조작적 정의
- 조작화, Operationalizarion : 변수를 실제 현상에서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
-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 조작화를 거쳐 변수를 지표/ 지수형태로 정의한 것
- 변수의 추상성/ 모호성을 '한정되고 특수한' 조작 기준에 의하여 재정의
- 변수의 의미
[ Ⅴ. 개념적 준거틀 ]
- 의미
- 개념적 모형 ← 연구문제에 포함된 개념 및 변수들이 구성요소. 이 구성요소의 관계를 연결한 이론적 시스템
- 개념적 모형 ← 연구문제에 포함된 개념 및 변수들이 구성요소. 이 구성요소의 관계를 연결한 이론적 시스템
- 기능
- 고려해야할 변수와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
- 연구범위를 한정
- 개념 간 관련성을 해석하는 기준
- 가설을 연역해 낼 수 있는 전제
- 구성과정
- 구성요소의 식별방법(개념 및 변수)
- 개념(변수)간 관계설정
- 변수의 위치에 따른 변수의 유형 결정
- 개면적 준거틀/이론적 모형의 구성
- 표현방법 : 도표/ 기호/ 수식 등의 형태로 표현
[ Ⅵ. 가설 ]
- 가설의 의의
- 가설(Hypothesis)의 의미
- 연구문제에 대하여 연구자가 내린 잠정적 해답(tentative conclusion)
- 연구문제가 의문문 형태로 표현되는 데 반해, 가설은 선언적이며 가정적인 서술문 형태로 나타난다
- 가설의 구조
- '만약 ~하면 ~할 것이다' → 어떤 조선 아래 어떤 결과가 나타난다는 방식으로 두 변수 간 관계를 서술
- '만약 ~하면 ~할 것이다' → 어떤 조선 아래 어떤 결과가 나타난다는 방식으로 두 변수 간 관계를 서술
- 가설의 특징
- 가설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어야 한다
- 가설은 변수로 구성되면, 그것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야 한다
- 가설은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이 될 수 있는 문장
- 사회과학에서 가설로 사용되는 문장은 종합적인 문장으로, 가설로 설정된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를 밝혀내어 현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사회과학에서 가설로 사용되는 문장은 종합적인 문장으로, 가설로 설정된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를 밝혀내어 현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Hypothesis)의 의미
- 가설의 유형
- 적용범위에 따른 분류
- 일반 가설 : 시간/ 장소 관계 없이 가설에 내포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적용되는 경우
- 지엽적 가설 : 특별한 경우에만 적용되는 가설
- 추리정도에 따른 분류
- 식별 가설 : 사실을 밝히는 가설, '무엇'에 대한 해답을 구함 ex) ~은 ~이다.
- 설명적 가설 : 인과관계를 밝히는 가설, '왜'에 대한 해답을 구함 ex) 만약 ~하면 ~하다.
- 검증과정에 따른 분류
- 귀무가설 : 실제 검증대상이 되는 보수적인 가설로서 연구가설과 반대 입장의 진술
- 대립가설 :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
- 사용되는 변수의 수에 따른 분류
- 단순가설 : 사용되는 변수의 수가 1개 또는 2개인 가설
- 복합가설 : 사용되는 변수의 수가 3개 이상인 가설
- 세분화에 따른 분류
- 기본가설 : 하나의 줄거리, 가설보다 연구주제에 가까움
- 종속가설 : 기본가설을 여러 측면에서 검증하기 위해 작성되는 세분화된 가설
- 적용범위에 따른 분류
- 가설의 평가 기준
-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실증조사를 통해 가설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 동일 연구 분야의 다른 가설/ 이론과 연관이 있어야 한다(이론적 준거성)
- 가설의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 연구문제를 해결 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은 논리적으로 간결해야 한다
- 가설은 계량화(통계적인 분석) 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 검증 결과는 가능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은 동어반복(Tautological)이어서는 안된다
[ Ⅶ. 분석단위 ]
- 의의
- 분석단위(Unit of Analysis) : 조사대상으로서, 누구 또는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인가의 문제
- 관찰단위(Unit of Observation) : 직접적인 조사대상
- 분석단위의 오류
- 생태학적 오류, Ecological Fallacy :
- 집단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리거나 주장하는 것
- 집단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리거나 주장하는 것
- 개인주의적 오류, Individualistic Fallacy :
- 개인을 분석단위로 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집단에 대해서도 똑같을 것이라 가정할 때 발생
- 생태학적 오류, Ecological Fallacy :
분석단위(자료분석 결과의 단위) | |||
개인 | 집단 | ||
관찰단위 (자료수집의 단위) |
개인 | 개인 = 개인 | 개인주의적 오류 |
집단 | 생태학적 오류 | 집단 = 집단 |
'자격증 공부 > 사회조사분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사방법론Ⅱ: 척도 (0) | 2021.01.19 |
---|---|
조사방법론Ⅱ: 측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Ⅱ: 표본추출방법 (0) | 2021.01.19 |
조사방법론Ⅰ: 자료수집 방법 (0) | 2021.01.08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4 조사설계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3 조사윤리와 현장조사 (0) | 2021.01.04 |
조사방법론Ⅰ: 사회과학적 방법_01 과학적 조사의 이해 (0) | 2021.01.02 |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시험과 블로그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