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025 AI Index Report」의 "Economy" 챕터에서는 McKinsey, LinkedIn, Quid, Lightcast, 국제로봇연맹(IFR)의 데이터를 활용해 AI 관련 경제 트렌드를 분석합니다.
먼저 AI 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노동 수요, 채용 추이, 기술 침투율, 인재 가용성 등을 살펴보고, 이어 기업의 AI 투자 동향, 특히 생성형 AI에 초점을 맞춘 섹션도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AI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산업별 로봇 설치 현황도 함께 다룹니다.
목차
-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AI 투자
- 생성형 AI 분야 투자 급증
- AI 민간 투자에서 글로벌 우위 확대하는 미국
-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AI 활용 지수
- AI의 실질적인 재무 성과
- 가장 빠르게 성장한 중국의 AI
- 산업용 로봇을 지배하는 중국
- 협업형 로봇의 일반화
- AI를 위한 에너지 대비책
- 기술격차를 해소하는 AI
이 포스팅은 Standford HAI가 2025년 4월에 발행한 「The 2025 AI Index Report」의 일부 내용을 요약하고 의역한 글입니다.
보고서의 정확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원문(영어)을 참고해 주세요.
1.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AI 투자
전 세계 AI 민간 투자가 26%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기업의 AI 투자는 총 2,523억 달러(350조 원)에 달했으며, 민간 투자는 전년 대비 44.5% 증가했고, 인수합병은 12.1% 늘어났습니다.
AI 산업은 지난 10년간 극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2014년 이후 전체 투자가 1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2. 생성형 AI 분야 투자 급증
생성형 AI에 대한 민간 투자는 339억 달러(54조 원)로, 2023년 대비 18.7% 증가했으며, 2022년과 비교하면 무려 8.5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생성형 AI 분야는 이제 전체 AI 민간 투자 중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 AI 민간 투자에서 글로벌 우위 확대하는 미국
미국의 AI 민간 투자액은 1,091억 달러(151조 원)로, 중국의 12배, 영국의 24배에 달합니다.
생성형 AI 분야에서는 격차가 더욱 두드러져, 미국의 투자는 중국, 유럽연합, 영국의 총합보다 254억 달러(75조 원) 더 많았으며, 이는 2023년의 격차(218억 달러)보다 더욱 벌어진 것입니다.
4.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AI 활용 지수
AI를 자사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설문 참여 기업 비율은 78%로, 2023년의 55%에서 급등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생성형 AI를 최소 한 가지 업무 기능에서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2023년 33%에서 2024년 71%로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5. AI의 실질적인 재무 성과
AI는 이제 기업의 다양한 부문에서 재무적인 영향을 나타내기 시작했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업무 부문에서 재무적 효과를 경험한 기업들 중, 대부분은 그 효과가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운영 부문에서 AI를 활용하는 기업의 49%는 비용 절감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공급망 관리(43%)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41%)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절감 효과가 10% 미만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수익 측면에서는 마케팅 및 세일즈 부문에서 AI를 사용하는 응답자의 71%가 수익 증가를 경험했다고 답했고, 공급망 관리 부문은 63%, 서비스 운영 부문은 57%였습니다. 다만 수익 증가의 대부분은 5% 미만의 낮은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6. 가장 빠르게 성장한 중국의 AI
AI 활용은 지역별로 극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중화권의 성장이 두드러집니다.
북미는 여전히 AI 활용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화권 지역은 기업의 AI 활용률이 전년 대비 27%포인트 증가하면서 가장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유럽도 23%포인트 증가하며 뒤를 이었고, 이는 전 세계 AI 환경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AI 도입을 둘러싼 국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7. 산업용 로봇을 지배하는 중국
중국은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여전히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중국은 276,300대의 산업용 로봇을 설치했는데, 이는 일본의 6배, 미국의 7.3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중국은 2013년에 일본을 추월하며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설치 비중의 20.8%를 차지했고, 2023년에는 그 비중이 51.1%까지 상승했습니다. 다만 2023년에는 이전에 비해 증가 속도가 다소 둔화되면서 확장세에 조정이 나타났습니다.
8. 협업형 로봇의 일반화
협업형 및 인터랙티브 로봇 설치가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2017년 협업형 로봇은 전체 신규 산업용 로봇 설치의 2.8%에 불과했으나, 2023년에는 그 비중이 10.5%로 증가했습니다.
같은 해에는 의료용 로봇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서비스 로봇 설치도 증가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전체 로봇 설치 수가 증가한 것을 넘어, 사람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로봇의 도입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9. AI를 위한 에너지 대비책
AI는 에너지원 구성에도 큰 변화를 주고 있으며, 특히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운영을 위해 Three Mile 섬 원자력 발전소를 재가동하는 16억 달러(2조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구글과 아마존도 각각 AI 운영을 위한 원자력 에너지 공급 계약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10. 기술격차를 해소하는 AI
AI는 생산성을 높이고,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작년 보고서는 AI가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최초로 집중 조명한 보고서 중 하나였으며, 올해는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더욱 보강되어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AI는 전반적인 생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고숙련자와 저숙련자 간의 기술 격차를 좁히는 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공지능 > AI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nford HAI] "대중 인식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1) | 2025.08.03 |
---|---|
[Stanford HAI] "교육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1) | 2025.08.03 |
[Stanford HAI] "AI 정책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1) | 2025.08.03 |
[Stanford HAI] "과학 및 의학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1) | 2025.08.03 |
[Stanford HAI] "책임 있는 AI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0) | 2025.08.03 |
[Stanford HAI] "기술 성과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0) | 2025.08.03 |
[Stanford HAI] "연구 개발 분야" 핵심 요약 (The 2025 AI Index Report) (0) | 2025.08.02 |
[McKinsey / Bain / BCG] 3대 컨설팅사 주요 AI 인사이트 번역 & 정리 (25.04~25.05) (0)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