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AI 인사이트

[AI 인사이트] 3대 컨설팅사 인사이트 번역 & 정리 (McKinsey / Bain / BCG)

3대 컨설팅사 인사이트 번역 & 정리 (McKinsey / Bain / BCG)

 

 

 

2024년부터 2025년 초까지, 세계 3대 컨설팅사인 McKinsey, Bain, BCG는 생성형 AI(GenAI)의 실질적인 영향과 조직 도입 전략에 대해 각기 다른 시각의 인사이트를 제시했습니다.

 

 

각 컨설팅사가 가장 최근에 발행한 AI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추천 독자, 그리고 핵심 내용을 하이라이트한 번역본을 정리해 드립니다.


 

[McKinsey & Company] Superagency in the workplace

인사이트 개요

“Superagency”라는 개념을 통해, 생성형 AI가 어떻게 인간의 주도성과 창의성을 증폭시키는지를 설명합니다. 직원들은 이미 AI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만, 리더들이 변화에 소극적인 것이 가장 큰 도입 장벽이라는 분석이 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AI가 바꿀 조직 문화가 궁금하신 분, 또는 조직에서 생성형 AI를 확산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이 많습니다.

 

번역 & 하이라이트

  1. Superagency: 숫자로 보는 AI 사용 현황 ⭐️
  2. 증기기관만큼 파괴적인 혁신
  3. 문제는 직원이 아니라 리더들이다 ⭐️
  4. AI 도입 속도와 안전 사이의 딜레마
  5. 큰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큰 야망이 필요하다
  6. 기업이 AI 도입에 실패하는 이유 ⭐️
  7. 결론: 리더와 직원들을 위한 질문들
  8. [McKinsey & Company] AI 인사이트 원문 (영어)

 

 


 

[Bain & Company] Technology Report 2024

인사이트 개요

Bain & Comapny의 보고서는 굉장히 넓은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보고서에 비해 전문 지식이 필요한 챕터가 많아 어려운 내용이 많지만, 거시적인 차원에서 AI가 산업 전반에 어떤 변화를 갖고 올지, 기업의 리더십은 어떤 대비를 해야하는지를 주로 다룹니다.

 

 

실무 영역을 넘어서 AI 혁명이 데이터 센터부터 투자, 칩 수요와 공급망까지, 산업 전반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신 분이라면 도움이 될 인사이트가 많습니다.

 

번역 & 하이라이트

  1. 기술 선도 기업의 수익화 전략
  2. 기술 시장 투자자들의 움직임
  3. 기술 인수합병(M&A)의 새로운 현실
  4. AI 탈세계화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5. AI가 이미 성과를 내고 있는 다섯 가지 분야 ⭐️
  6. 1,000조 규모의 AI 시장
  7. AI가 컴퓨팅에 미치는 영향
  8. AI가 반도체 공급 위기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
  9. 저성장하는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살아남기 ⭐️
  10. 생성형 AI, 기술 서비스 산업의 게임체인저 ⭐️
  11. [Bain & Company] AI 인사이트 원문 (영어)

 

 

 


 

[BCG] GenAI Doesn’t Just Increase Productivity. It Expands Capabilities

인사이트 개요

BCG 컨설턴트 48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으면 데이터 분석, 모델링 같은 고난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생성형 AI를 실무에 접목하고 싶은 비전문가 실무자분들, 또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이 많습니다.

 

번역 & 하이라이트

  1.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생성형 AI
  2. 비전공자도 데이터 과학자 86%를 따라잡는 시대 ⭐️
  3. 생성형 AI 증강 인력으로의 전환
  4. [BCG] AI 인사이트 원문 (영어)

 

함께 읽으면 좋은 글

 

[AI 인사이트] WEF 미래 일자리 보고서 2025 번역 & 정리 (World Economic Forum)

기술 혁신, 지경학적 분열, 경제 불확실성, 인구 구조 변화, 녹색 전환은 단독으로도, 그리고 복합적으로도 2030년까지 전 세계 노동 시장을 형성하고 변화시킬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 『미래

cheesechaser.net